시놀로지만 10년 쓴 제가 유그린(UGREEN) NAS를 써보고 놀란 5가지 이유

키워드: 유그린 NAS, 시놀로지 NAS 비교, NAS 추천, DXP6800 Pro 리뷰, 썬더볼트 4 NAS, 10GbE NAS, 가상머신 NAS, UGOS

소개

‘나스(NAS)는 시놀로지’라는 공식은 오랫동안 불변의 진리처럼 여겨졌습니다. 저 역시 10년 넘게 시놀로지를 사용하며 안정성과 신뢰성을 이유로 다른 브랜드를 고려하지 않았습니다. 하지만 유그린(UGREEN) DXP6800 Pro를 직접 사용해본 뒤, 그 고정관념은 완전히 깨졌습니다. 단순히 고사양이라는 수준을 넘어, 실제 사용 경험에서 느껴지는 완성도는 놀라웠습니다.

1. 첫 번째 놀라움 — “이건 NAS가 아니라 고성능 미니 컴퓨터입니다.”

유그린 NAS를 처음 열어보자마자 느낀 건, 이건 NAS가 아니라 완성도 높은 소형 컴퓨터라는 것이었습니다. 하드웨어 구성을 보면 단순 저장장치를 넘어선 ‘올인원 서버’에 가깝습니다.

  • CPU: 인텔 코어 i5-1235U 프로세서
  • 메모리: 8GB DDR5 (최대 64GB 확장 가능)
  • 네트워크: 듀얼 10GbE 포트 기본 탑재
  • 연결성: 썬더볼트 4 포트 2개, HDMI 포트

특히 듀얼 10기가 포트가 기본 내장된 6베이 NAS는 거의 유일합니다. 링크 어그리게이션으로 최대 20Gbps 대역폭까지 구성할 수 있으며, HDMI 포트를 통한 직접 모니터링도 가능합니다. 이쯤 되면 ‘NAS용 미니 PC’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

2. 두 번째 놀라움 — “썬더볼트 4 포트 하나로 영상 편집 흐름이 바뀌었습니다.”

전면의 썬더볼트 4 포트는 영상 작업자에게 게임 체인저입니다. 기존에는 촬영 데이터를 외장 SSD에 옮긴 후 NAS로 업로드해야 했지만, 이제는 SSD를 NAS에 직접 연결하기만 하면 됩니다.

  • 네트워크 대역폭 소모 없이 고속 데이터 전송
  • 업로드 중에도 팀원들이 NAS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
  • 프로덕션 워크플로우 효율 대폭 향상

작업 효율이 단순히 빨라진 정도가 아니라,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 완전히 사라졌습니다. 영상 편집용 NAS로 유그린을 고려할 가치가 충분합니다.

3. 세 번째 놀라움 — “NAS에서 윈도우를 이렇게 쾌적하게 돌린다고요?”

가상머신(VM) 성능은 제가 가장 놀란 부분 중 하나입니다. 시놀로지에서는 무겁고 느려 자주 사용하지 않았던 윈도우 VM이, 유그린에서는 완벽히 다른 세계였습니다.

  1. 강력한 하드웨어 성능: 인텔 i5 CPU로 윈도우 11이 쾌적하게 구동
  2. 간편한 설치 과정: 유그린이 제공하는 통합 ISO 이미지로 자동 설정

설정 완료 후, 원격 데스크톱으로 외부 접속이 가능하며 사무실 네트워크 자원에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. 개인 NAS에서 완벽한 업무용 윈도우 환경을 만든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적입니다.

4. 네 번째 놀라움 — “소프트웨어는 훌륭한 모범생, 하지만 아직은…”

유그린의 OS인 UGOS는 시놀로지 DSM의 우수한 인터페이스를 벤치마킹한 듯한 완성도를 보여줍니다. 직관적인 UI와 안정적인 파일 관리, 클라우드 백업 등 필수 기능은 잘 갖춰져 있습니다.

👍 장점

  • DSM과 유사한 UI/UX로 학습 곡선이 낮음
  • 파일 서버, 백업, 동기화 등 핵심 기능 완비
  • 업데이트 및 로드맵을 적극적으로 공개

👎 아쉬운 점

  • 서드파티 생태계가 아직 미성숙
  • Active Backup 같은 고급 비즈니스 기능 부재
  • Plex 설치 시 수동 Docker 설정 필요

하지만 유그린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. 향후 펌웨어 업데이트로 서베일런스, 백업, 미디어 서버 기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
5. 다섯 번째 놀라움 — “그래서 이 NAS, 누구에게 추천할까?”

시놀로지를 추천하는 사용자

  • 파일 서버로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
  • Active Backup 등 비즈니스 솔루션을 활용해야 하는 사용자
  • 별도의 설정 없이 원클릭 환경을 선호하는 사용자

유그린을 추천하는 사용자

  • NAS를 고성능 소형 서버처럼 활용하고 싶은 파워 유저
  • 여러 개의 VM(윈도우, 리눅스 등)을 동시에 운용하고 싶은 사용자
  • 하드웨어 트랜스코딩 기반 미디어 서버 구축 목적의 사용자
  • TrueNAS, Jellyfin 등 오픈소스 환경을 자유롭게 실험하고 싶은 사람

장단점 비교

장점단점
듀얼 10GbE 및 썬더볼트 4 포트 탑재소프트웨어 생태계 미성숙
i5 기반 고성능 하드웨어로 VM 구동 쾌적Plex, Docker 설정 등 기술적 진입 장벽 존재
다양한 OS 설치 가능 — TrueNAS, 윈도우 등시놀로지의 자동화 백업 기능 부재
네트워크 병목 없는 고속 워크플로우일부 앱 호환성 제한

결론

유그린 NAS는 아직 소프트웨어 생태계 면에서 성장 여지가 있지만, 하드웨어 구성만큼은 현존 NAS 중 독보적입니다. 특히 영상 작업, 가상머신 운영, 하드웨어 트랜스코딩 기반 미디어 서버 구축 등 ‘NAS 이상의 활용’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선택입니다.

결국 선택은 명확합니다. 안정성과 전통을 원한다면 시놀로지, 무한한 가능성과 성능을 원한다면 유그린입니다.

댓글 남기기